메뉴 건너뛰기

정보자료게시판

장비/디자인/구조

정품 아이폰 라이트닝 충전 케이블 단선 수리하기

by 라키 posted Feb 10,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기들이 라이트닝 케이블을 함부로 사용하는 바람에 충전이 제대로 안된다.

버리려다가 어떻게 생겼나 궁금해서 뜯어보았다.

가느다란 녹색선이 끊어져 있는 상태.

붙일 방법이 없어보여 또 버리려다가 혹시 라이트닝 케이블 수리가 가능한지 검색에 들어갔다.

몇몇 수리 케이스가 보인다.

https://m.blog.naver.com/dev4unet/220876755195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ni_0820&logNo=22021108308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https://bluejong.com/431

https://everyflower.tistory.com/89

 

라이트닝 쪽 단자 커버를 다 뜯어내서 단자에 직접 납땜을 하려고 했는데, 분해도를 보니 정품의 경우 글루건 같은 물질로 완전 기판이 덮혀있어 불가능할 것 같다.

https://gigglehd.com/gg/mobile/1976100

그래서 단선된 선을 연결하는 걸로 변경.

 

1. 전선의 피복을 벗긴다.

바깥에 위치한 가느다란 미세그물망은 연결과 무관한 보호막이다. 풀어서 내리려고 했는데 워낙 미세해서 잘 풀리지 않는다. 그냥 아래로 밀어놓았다.

4가닥의 전선이 나오는데, 빨강,녹색,흰색 그리고 피복이 없는 2~3개의 나선이다.

피복을 벗길때는 한쪽 면만 아주 잘 드는 나이프로 살짝 그어주고 손톱으로 잡아당기는게 좋다. 워낙 가늘어 전선 손상 없이 피복 벗기는 게 매우 힘들다.

 

2. 납땜으로 선 보강하기

선이 너무 가늘기 때문에 납땜으로 보강해주는 작업을 했다. 납이 가느다란 전선에 그대로 붙지는 않기 때문에, 납땜 페이스트를 사용해야 한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2554625

선을 꼬아서 남땜 페이스트를 묻힌 다음 납이 묻어 있는 인두기에 갖다대면 납이 호로록 빨려든다. 8개 선 모두 같은 작업을 해준다.

 

IMG_4350

3. 접착 인두작업 후 테이핑

색깔 맞춰서 인두로 접착 작업을 해준다. 그 다음 테이핑. 테이핑에 사용할 테이프는  흰색 의료용 종이 테이프가 짱이다. 느낌도 비슷하고, 색깔도 괜찮고, 접착력도 환상이다.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696018078

 

4. 수축 튜브 작업 및 2차 테이핑

http://browse.auction.co.kr/search?keyword=수축+튜브&itemno=&nickname=&arraycategory=&frm=&dom=auction&isSuggestion=No&retry=&Fwk=수축+튜브&acode=SRP_SU_0100&encKeyword=수축+튜브

 

사놓았던 수축튜브를 짧게 잘라 드라이기로 가열해서 단단하게 고정한 후 다시 의료용 테이프로 2차 테이핑을 했다.

 

IMG_4351

꽂아보니 충전이 잘 된다.

 

이상하게 라이트닝 케이블 버리는게 무지 아깝게 느껴지는데, 세이브했다. 기쁘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6 장비/디자인/구조 [메뉴얼] 타이머_HTS-24BB_12V 라키 2018.08.08
255 장비/디자인/구조 작물 재배 자동화 목표 라키 2018.08.08
254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맥북에서 연결하기 라키 2018.08.09
253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버튼 누르면 LED 켜지게 라키 2018.08.09
252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시리얼 통신 예제 라키 2018.08.09
251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수위를 감지해 자동 급수 라키 2018.08.10
250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모스펫으로 고전압 장비 속도 아날로그 제어 라키 2018.08.10
249 장비/디자인/구조 ESP32, MAC OSX 기반 아두이노 IDE에 간단하게 설치하기 라키 2018.08.29
248 장비/디자인/구조 지그비 통신 정리 라키 2018.09.05
247 장비/디자인/구조 엑셀 표, 마크다운 양식으로 변환 라키 2018.09.05
246 장비/디자인/구조 esp32에 전압 측정 모듈 달기 라키 2018.09.07
245 장비/디자인/구조 지그비 통신(COORDINATOR API-ROUTER AT) 정리 라키 2018.09.16
244 장비/디자인/구조 지그비 통신_COORDINATOR API에서 ROUTER AT로 명령 보내기 라키 2018.09.16
243 장비/디자인/구조 지그비 통신_COORDINATOR API 와 ROUTER AT 사이 의사소통(센서-릴레이) 라키 2018.09.16
242 장비/디자인/구조 지그비 통신 정보를 esp32, Blynk를 통해 핸드폰으로 보내기 라키 2018.09.17
241 장비/디자인/구조 지그비(XBee)-ESP32-Blynk 오토메이션 종합 01 라키 2018.09.21
240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ESP32-XBee-초음파 센서 배터리 지속기간 라키 2018.10.06
239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ESP32 - 정밀온습도센서 BME 280 제어 라키 2018.11.19
238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ESP32 - LCD 연결하기 라키 2018.11.24
237 장비/디자인/구조 [아두이노] 정밀온습도센서 정보를 핸드폰(Blynk)으로 보내기 라키 2018.11.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