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보자료게시판

사회/생태/환경

무안공항 사고 원인 추정 - 고어라운드

by Summa posted Dec 30,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어라운드란?

고어라운드는 착륙복행이라고도 한다. 항공기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정상적인 착륙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질 때, 조종사의 판단에 따라 다시 이륙하는 상황을 뜻한다.

고어라운드는 이륙과 동일한 절차를 밟는다. 고어라운드를 하면 이륙 출력인 토가(TOGA) 파워를 넣고 랜딩기어를 다시 접는다. 이륙은 활주로에서 시작하는 것이고, 고어라운드는 비행상태에서 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언제 이루어졌는가?

고어라운드의 판단은 조종사가 하는 것이고, 조종사가 정상적인 착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때 이루어진다. 조종사는 고어라운드를 할지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고어라운드를 하게 되면 승객들은 안전에 대한 불안감 내지 도착 시간이 지연되어 불편함을 겪고, 추가적인 항공유를 소모하게 되어 항공사의 비용지출로 이어진다. 그래서 원래 고어라운드는 준사고로 취급되어 조사를 받거나 최소한 보고서를 작성해야 했기에 조종사들은 고어라운드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다가 무리한 착륙 강행으로 인한 사고가 이어지자, 고어라운드가 치명적인 사고를 회피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고어라운드를 가급적 권장하는 지침들이 만들어졌다.

부기장이 '고어라운드'를 요청하면, '고어라운드'를 해야하는 의무규정으로 두고 있는 곳도 생기게 되었다.

 

지침은 타당한가?

기장과 부기장 둘 중 한명이 고어라운드를 결정하면 그에 따라야 하는 의무로 규정하는 것이 맞을까? 부기장은 기장에 비해서 경력도 짧고, 경험도 부족하다. 실제 사례에서 랜딩기어 윤활유 누유 경고등이 떴을때 부기장이 당황해 고어라운드를 요청했지만, 기장이 그대로 착륙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하여 안전하게 착륙한 사례가 있었다. 실제 확인하자 랜딩기어 윤활유 라인에 누유가 확인되었는데 만약 고어라운드 절차를 이행하면서 랜딩기어를 다시 접고 펴는 과정에서 강한 압력이 가해졌을 것이고 더 큰 사고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고어라운드는 언제 해야 하는가?

고어라운드는 '그대로 착륙 절차를 진행하는 것'과 '고어라운드를 하는 것' 둘 중 더 안전한 쪽을 선택해야 한다. 새가 항공기와 충돌하는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하면 새의 사체가 엔진으로 들어가 엔진에 불꽃이 발생하고, 진동, 화염, 요잉과 롤링이 발생한다.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했다고 해서 즉각적으로 비행 불능 상태에 빠지거나 하는등 심각한 문제가 바로 생기는 것은 아니다. 만약 착륙 과정에 진입했고, 랜딩기어도 적절히 내려와있는 상태라면 '그대로 착륙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고어라운드를 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한 상황에서 이륙 출력인 토가 파워를 넣고, 랜딩기어를 접게 되면 엔진 상태는 더욱 나빠지고 전기 시스템, 유압 시스템으로 문제가 확대되어 상황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무안공항 사고 원인 추정

기사에 따르면 8:54 무한공항 관제탐 착륙 허가 지상 2백미터 상공 세떼와 충돌. 우측 엔진화염발생, 기장 랜딩 포기, 기수올려 공항상공 선회, 관제탑 교신. 2차 랜딩 시도 할것 교신. 9:03 활주로 중간에 동체 착륙 참사로 이어지게 되었다.

제주항공의 고어라운드 관련 규정집을 보진 않았지만, 고어라운드를 가급적 권장하는 규정들이 있을 수 있다.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했을때 부기장 또는 기장이 고어라운드를 해야 한다고 판단했을 수 있고, 그로 인해 규정에 따라 고어라운드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것이다. 일단 고어라운드 절차를 진행하면서 토가 파워를 넣고 랜딩기어를 접은 후 항공기의 상태는 화재의 확산 등으로 상황이 악화되었고 전기계통, 유압계통 등의 각종 제어장치들이 셧다운되면서 통제불능 상태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여진다.

 

아쉬운 점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고어라운드를 하지 말고 그대로 착륙 절차를 진행했으면 상황은 훨씬 좋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개선할 점

1. 고어라운드를 해야할때와 해야하지 않을때의 기준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2024년 1월 10일에도 티웨이항공 소속 항공기가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던 도중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한 사고가 있었고 그때도 조종사는 고어라운드를 했다. 그때 조종사가 왜 그런 판단을 했는지, 더 좋은 판단은 어떤 것이었는지, 이런 사례에 대한 평가와 전파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2. 고어라운드에 대한 지침이 보다 명확하게 개선해야 한다. 가급적 고어라운드를 해야한다거나, 정상적인 착륙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질 때 고어라운드를 해야한다거나 하는 지침은 없는 지침과 동일하다.

 

 

 

안타까운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책임자 처벌 처벌 운운 또다시 광기에 휩싸이기 보단, 이런 유형의 재난을 줄이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 사회가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공지 꾸준히 하는 취미를 가져보기로 한다 Summa 2025.04.02
» 사회/생태/환경 무안공항 사고 원인 추정 - 고어라운드 Summa 2024.12.30
117 사회/생태/환경 비오는 날 Summa 2024.05.05
116 사회/생태/환경 가스비 난방비 절약 Summa 2023.01.26
115 사회/생태/환경 수경재배 | 케일 재배 17일차 Summa 2023.01.20
114 사회/생태/환경 수경재배 | 케일 성장 11일차 Summa 2023.01.15
113 사회/생태/환경 수경재배 | 케일 성장 10일차 Summa 2023.01.13
112 사회/생태/환경 수경재배 | 케일 성장 9일차 Summa 2023.01.13
111 사회/생태/환경 [수경재배] 케일 성장 8일차 Summa 2023.01.11
110 사회/생태/환경 [수경재배] 케일 성장 7일차 Summa 2023.01.11
109 사회/생태/환경 밥이 보약? Summa 2022.12.08
108 사회/생태/환경 토요일도 하던 서초구청 ok민원센터 Summa 2022.08.27
107 사회/생태/환경 KF21 초도 비행 성공, 일본 반응 1 Summa 2022.07.20
106 사회/생태/환경 적당하게 거리두기 Summa 2022.05.15
105 사회/생태/환경 우크라이나의 선전 MsjcLaki 2022.04.21
104 사회/생태/환경 뿌리파리의 비밀 숨마 2022.03.26
103 사회/생태/환경 2022년 연간 달력 file 숨마 2020.12.03
102 사회/생태/환경 DHGate 이용 시 주의사항 숨마 2020.11.29
101 사회/생태/환경 이명박 전대통령 대법원 판결 요지 및 전문 file 숨마 2020.11.06
100 사회/생태/환경 자기 주거용으로 쓰겠다던 국가와의 약속을 어긴 경우 숨마 2020.11.06
99 사회/생태/환경 증권발행 직원이 악재성 내부정보를 취득해 이를 애널, 펀드매니저 순으로 흘려 대량 매도한 경우 숨마 2020.11.0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