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혈당지수

2022.12.19 12:44

혈당지수란?

조회 수 3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탄수화물이 몸에 들어왔을때, 그것이 '얼마나 빨리 혈중으로 섞여 인슐린을 유발하는가'를 나타낸 상대 지표. 당연히 탄수화물 대사의 기본인 포도당을 기준으로 하며, 이것을 100으로 정의한다. 당뇨병 환자는 이 수치를 평소에 신경 써줘야 한다.

공복 상태에서 포도당 50g을 섭취한 뒤 2시간 동안의 혈당 변화를 100으로 보고 다른 탄수화물 식품 50g을 섭취했을 때 혈당 변화를 지수로 만든 것이다.

당류 중 가장 GI 수치가 낮은 것은 타가토스로, 겨우 3밖에 되지 않는다. 위키피디아 항목 설탕(G.I. 68)에 비해 1/23밖에 안 되며 감미도와 용해도 모두 설탕과 비슷하기 때문에 설탕의 대체제로 각광받고 있다.

'GI'(Glycemic Index), '당 지수'라고도 한다. 겹말로 'GI 지수'라고도 한다.

비슷한 개념으로 혈당 부하(Glycemic Load, GL)라는 개념도 있다. 혈당지수에 1회 섭취분량에 함유된 탄수화물 양/100을 곱한 값이다.


낮은 혈당지수(55 미만): 유제품, 과일, 채소, 콩과 식물 및 일부 파스타 종류의 값이다.
중간 혈당지수(55~69): 쌀, 빵 및 일부 아침 식사용 시리얼의 값이다.
높은 혈당지수(70 이상): 흰 밀가루와 감자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제빵 제품에 대한 값이기도 하다.

 

◇혈당지수 낮추는 조리·섭취 방법
연구팀은 혈당지수 리스트와, 같은 식품을 먹더라도 혈당지수를 낮출 수 있는 방법 제시

① 올리브유 같은 ‘건강한 지방’ 곁들이기
②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와 함께 먹기
③ 정제된 곡물 대신 현미·귀리 같은 통곡물 먹기
④ 일반쌀(자포니카) 대신 인도쌀·파보일드쌀 먹기
⑤ 가공하지 않은 고기·생선·달걀 챙겨 먹기
⑥ 계피·식초·생강 등으로 간하기

 

출처 : 

‘영양과 당뇨병’, 싱가포르 연구팀의 새로운 혈당지수 리스트.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3/30/2021033002099.html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혈당지수란? Summa 2022.12.19 374
58 귤 50.4 Summa 2022.12.19 100
57 사과 33.5 Summa 2022.12.19 122
56 배 35.7 Summa 2022.12.19 123
55 수박 53.5 Summa 2022.12.19 141
54 감 42.9 Summa 2022.12.19 114
53 포도 48.1 Summa 2022.12.19 122
52 참외 51.2 Summa 2022.12.19 122
51 복숭아 56.5 Summa 2022.12.19 114
50 쌀죽 92.5 Summa 2022.12.19 112
49 쌀떡 80.7 Summa 2022.12.19 113
48 찹쌀밥 75.7 Summa 2022.12.19 112
47 주먹밥 96.9 Summa 2022.12.19 129
46 보리가루 69.8 Summa 2022.12.19 103
45 소면 49 Summa 2022.12.19 126
44 밀면 48.2 Summa 2022.12.19 154
43 수제비 50.2 Summa 2022.12.19 115
42 스파게티 55.3 Summa 2022.12.19 121
41 메밀면 59.6 Summa 2022.12.19 139
40 당면 60 Summa 2022.12.19 131
39 흰빵 70.7 Summa 2022.12.19 1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